골격확장을 통한 비발치교정 제대로 하고 있나요?
|
이기준 교수
|
Proper Approach to Non-extraction Treatment via Skeletal Expansion
|
연대치대 졸업 및 교정과 수련
미국 UPenn 객원교수
연대치대 교정과 교수
|
상악골을 확장하면 악궁내 공간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비발치교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이 보편적인 인식이다. 악궁이 확장되면 전치부에는 diastema가 형성되고 구치간 폭경이 증가하므로 공간이 매우 넓어졌다고 판단하였다가 consolidation후 막상 배열을 시도하고 나면 그다지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서 결국 발치와 비발치의 경계선에서 다시 갈등을 하게 된다. 그러나 확장 후 소구치 발치로 전환을 하는 경우 결국 악궁이 축소되므로 악궁확장의 효과는 거의 소실되게 된다.
따라서 초기에 상악골 확장이 치료계획에 포함된 경우 궁극적으로 비발치 치료로 종료할 수 있도록 사전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제를 통해 상악골 확장에 관련된 핵심적인 부분을 논의하고자 한다.
1. RPE인가 MARPE인가: 미니스크류를 추가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최근의 RCT연구를 통해 생역학적 의미를 이해한다.
2. 관골궁이 확장되는 것은 좋은 의미인가?: 비발치 치료를 위해 기저골까지 확장되는 것은 어떤 임상적인 의미가 있는가? 과연 그런 확장이 달성 가능한가? 혹은 필요한가?
3. 진단시 고려사항: 악궁 확장이 비발치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
4. 확장과 수직조절에 의한 비발치 혹은 변형 비발치 치료: 확장 만으로 돌출입의 개선이 가능할 것인가?
5. 한 번의 확장으로 충분한가?: 극적인 확장 효과가 확인되었다면 이것으로 충분한가? 만일 부족하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6. 악궁 확장의 실패는 발치로의 전환을 의미하는가?: 실패는 과연 실패인가?.
|
TAD를 이용한 비발치교정, 어떻게 하고 있나요
|
국윤아 교수
|
Expansion of Non-extraction Envelope by Using Temporary Anchorage Device
|
원광치대 졸업 및 교정과 수련
미국 USC 교정과 수련
서울성모병원 교정과 교수
|
최근 골성 고정원 장치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비발치 교정 치료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발치와 비발치 교정 치료를 선택함에 있어서 서로 유사한 결과를 낼 수 있다면, 치아 상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비발치 교정 치료를 선택하는 것이 환자에게도 보다 높은 만족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구치부 후방이동을 위한 구개부 골성 고정원의 장점과 당위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치열기와 초기 영구치열기에도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골성 고정원 장치는 구개부 골성 고정원 장치이다. 둘째, 치조골에 식립하지 않기 때문에 유치 하방에 있는 영구치 치배에 손상을 줄 확률이 적어, 혼합치열기의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셋째, 구개부 장치를 이용한 교정치료는 치아 간에 힘을 가하는 것이 아니므로 불필요한 치아 이동을 막을 수 있다. 또한 non-tooth bearing area에 식립하기 때문에 원하는 쪽의 치아를 최대한 많이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치아 이동을 계획하고 디자인하는데 용이하다. 넷째, 구개부 장치는 헤드 기어와 같은 효과를 얻으면서도, 구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환자의 협조도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마지막으로 골격적 부조화가 심하여 악교정 수술을 고려할 수 있는 환자에서도 구개부 장치를 적절히 활용하면 비수술 교정치료가 가능할 수 있다.
이번 발표를 통해서 구개부 장치를 이용한 치아이동 생역학과 구치부 후방이동시 알아야 할 Key point로서 발육 중인 제 2,3 대구치의 위치변화, 가능한 후방이동 양, 그리고 기도 공간 변화를 살펴보고, 3D CAD/CAM을 이용한 원심구개호선(PRA)과 지그, 구개부장치와 투명교정의 병용 치료전략인 하이블라인 치료법(Hybrid Aligner, HYBLIGN), 마지막으로 구개부 장치 적용 시 임상 팁과 구개부장치를 통해 비발치 교정의 외연이 크게 증가될 수 있음을 전형적인 증례와 함께 제시하는 한편 이를 위한 효율적인 임상가이드라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
비발치교정을 위한 구치 후방이동, 제대로 잘 되고 있나요
|
임성훈 교수
|
Limitation and Possibilities of Molar Distalization in Non-extraction Treatment
|
조선치대 졸업 및 교정과 수련
Orthodontics and Craniofacial Research 부편집인
조선치대 교정과 교수
|
교정용 미니-임플란트의 도입으로 성인에서의 구치 후방이동이 대중화되었다. 구치의 성공적인 후방 이동에 대한 보고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이의 어려움과 문제점에 대한 보고는 아직 드물다. 본 발표에서는 구치 후방이동이 어려운 이유와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치 후방 이동이 어려운 일차적인 이유는 해부학적 한계 때문이다. 상악 제2대구치 원심 협측 치경부와 하악 제2대구치 원심 설측 치근단부에는 종종 대구치 원심 이동에 필요한 치조골이 부족하다. 후방 이동에 대한 상하악의 해부학적 한계가 이렇게 다른 것은 상악 기저골 협측의 좌우 폭이 제1대구치 근처의 key ridge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반면, 하악 기저골 설측의 좌우 폭은 후방으로 갈수록 지속적으로 넓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1대구치 후방 부위의 폭경 차이 때문에 상악 대구치의 협측 경사와 하악 대구치의 설측 경사에 의한 Wilson 만곡이 나타나며, 이 만곡은 제1대구치에서 제3대구치로 갈수록 더 두드러지게 된다.
기존에 치아가 없었던 위치로 치아를 이동시킬 때 뼈가 따라오는 경우는 상하악 전치의 후방 견인 외에는 드문 것으로 보인다. 앞서 말한 해부학적 한계에 접촉하게 되면 치근의 후방이동이 어려워지며, 이동이 되더라도 치은 퇴축이 나타난다. 따라서 기존에 제3대구치가 있었던 부위로 제2대구치를 후방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대구치 발치 후 치조골의 변화 양상을 보면, 앞서 설명한 해부학적 한계 부위에서 급속도로 골흡수가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최후방의 치조골은 치아가 있을 때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구치 후방이동을 시작한 후 제3대구치를 발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높이 매복되어 있었던 상악 제3대구치나 수평매복된 하악 제3대구치의 경우에는 앞서 말한 해부학적 한계 부위에 치아가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제3대구치가 있더라도 치조골이 부족할 가능성이 높다.
교정 환자의 상당수에서 상악 제2대구치의 원심 경사가 있다. 이러한 원심 경사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치관의 근심 이동 또는 치근의 후방이동이 필요하다. 치근의 후방이동은 위와 동일한 해부학적 한계의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치은 퇴축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제2대구치의 원심 경사가 보인다면 제3대구치가 충분히 맹출된 경우가 아닌 한 소구치 발치 치료가 더 나은 선택이 될 가능성이 높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진단적 고려사항들과 함께 이러한 해부학적 한계를 회피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고자 한다.
|
치열궁 확장, 치조골 골개조, 미니임플란트를 이용한 비발치 교정치교
|
백승학 교수
|
Non-extraction Treatment with Dental Arch Expansion, Alveolar Bone Remodeling, and Orthodontic Mini-implants
|
서울치대 졸업 및 교정과 수련
미국 USC 객원교수
서울치대 교정과 교수
|
교정용 미니임플란트 (orthodontic mini-implant, OMI) 를 사용하는 목적은 최대고정원 또는 절대고정원의 부여, 환자 협조 필요성의 최소화, 치료 술식의 간편화 등이다. OMI는 고정식 교정장치의 치료 가능범위를 넓혀주며, 중등도의 II급 또는 III급 부정교합, 개방교합 또는 과개교합, 정중선 변위 치료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자가결찰브라켓 (self-ligating bracket, SLB) 의 장점인 ‘Low friction and low force biomechanics’ 는 교정용 미니임플란트와 같이 사용되었을 경우, 특히 비발치증례에서, 유용하다. 효율적인 비발치교정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Passive-type SLB 와 wide Cu-NiTi wire를 이용한 치열궁 확장
(2) Light force 에 의한 치조골 골개조 현상
(3) OMI 를 이용한 biomechanics 등이다.
따라서 본 강연에서는 SLB와 OMI를 같이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치료한 비발치 교정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성공적인 비발치교정을 위한 정확한 진단분석
|
김성훈 교수
|
Accurate Analysis as a Key to the Success of Non-extraction Treatment
|
경희치대 졸업 및 교정과 수련
미국 UCSF 객원교수
경희치대 교정과 교수
|
힘을 주면 치아가 움직여진다고 무리하게 비발치로 치료하는 것, 정말 환자에게 올바른 치료가 될까요? 소구치 발치로도 안전하게 치료될 수 있지는 않는지 고려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교정환자에 대한 발치 비발치 교정 여부를 결정할 때에는 단순히 치아이동 공간에 대한 고려 뿐만 아니라 치료과정 중이나 치료 종료 후에도 안전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생리학적으로 안정된 교합을 자연스럽게 얻고 그 교합이 저작근, 악관절과의 조화를 이루는 것을 치료 목표로 가지는 Bio교정의 경우 발치/비발치 교정치료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간단하고 핵심적인 10가지 진단 치료 원칙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TAKE ACTION원칙이라고 합니다.
이중 삼각구도 원칙 (Tripod Principle), 기도의 중요성 (Airway A great big deal), 치조골의 한계 범위 (Alveolar bone boundary), 와 타겟설정의 중요성 (Target tooth/ bone movement)은 실제 치료 계획 수립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연자는 이번 발표를 통해 1. 발치/ 비발치 교정의 장단점, 2. TAKE ACTION 원칙을 적용하여 발치/비발치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 3. 비발치 재교정치료 시도 시 치료장치 선택의 중요성과 위험성을 관련 논문 분석과 다양한 상황 하에서의 증례 보고를 통해 제시하고자 합니다.
|
Light force를 이용한 비발치 교정치료
|
황현식 교수
|
Effective Non-extraction Orthodontic Treatment by Using Light Force
|
연세치대 졸업 및 교정과 수련
전남치대 교정과 교수
미국 UOP 교정과 겸임교수
|
크라우딩 환자가 내원한 경우 가장 먼저 결정해야 하는 것이 바로 발치/비발치 이다. 나름대로 소구치 발치분석을 시행하여 발치로 나오면 발치를 하는 것이, 비발치로 나오면 비발치로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분석결과 borderline 으로 나온다면 악골유형, 연조직, 그리고 환자의 의견을 참고하여 발치/비발치를 결정한다. 이러한 borderline case는 발치로 결정해도 어렵고 비발치로 결정해도 어려운 것이 분명한 사실이다.
Borderline 케이스, 즉 크라우딩이 심한 비발치교정 환자라면 무엇보다 alignment 에 세심한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심한 크라우딩을 그냥 얼라인 한다면 전치부가 flare 될 것이고 이런 과정에서 심한 동통과 불편감이 초래되고 심하면 절치의 치근흡수가 나타나기도 한다.
심한 크라우딩 환자에서는 단순히 IPR 에 의존하기 보다는 소위 Available arch length를 늘려주는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즉 조금이라도 arch perimeter를 늘려 주는 것이 무리한 IPR을 피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 단순한 expansion이 아니라 대구치의 distal rotation을 같이 시행할 수 있는 Precision lingual arch (PLA) 같은 장치가 큰 도움이 된다. 양 대구치의 원심회전으로 대구치 전방의 공간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light wire 만으로도 arch form 개선이 즉, V 자형 악궁이 U 자형으로 손쉽게 개선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무엇보다 IPR에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manual 로 하는 스트리핑이 좋다는 것은 누구도 이견을 달지 않는다. 많은 임상가들이 크라우딩이 있을 때, 절치가 overlapped 되어 있을 때 이 크라우딩을 다 펴고나서 IPR을 하고 있다. 정확히 MD width를 reduction하기 위함일 것이다. 그러나 크라우딩이 심하지 않은 환자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크라우딩이 심한 경우에는 그 크라우딩을 펴는 과정에서 상당양 절치가 순측으로 flare가 나타나고 동통과 불편감이 동반될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얼라인 된 상태에서 IPR을 시행한다면 그 양이 많아 엔진 사용이 불가피하게 된다. 결국 치아의 모양도 좋지않고 경우에 따라선 시린 증상까지 야기하여 환자 불만의 소지가 되기도 한다.
크라우딩이 심한 환자에서는 처음부터 소량씩 치아사이를 스트리핑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0.1미리 정도 씩 스트리핑을 매 내원시 한다면 절치의 순측 flare 없이 스트리핑이 가능하여 쓸데없는 round tripping 도 없고 manual로 flexible한 스트립을 사용하여 하므로 natural tooth anatomy를 유지하여 스트리핑 후 치아 모양도 심미적으로 할 수 있다. 무엇보다 큰 장점은 스트리핑으로 치아가 움직일 수 있는 미세공간을 형성해 줌으로 light NiTi 로 얼라인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치료처음부터 끝까지 light NiTi로 약한 힘 교정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심한 크라우딩 환자에서도 동통이나 불편감 없이 편안한 교정치료를 하기 위해 약한 힘을 이용한 expansion 방법 그리고 약한 와이어로도 alignment가 가능하게 하는 신개념 스트리핑 방법을 전형적인 증례와 함께 소개하고자 한다.
|